국내 마감 시황 - 금일 증시는 한 • 미 통상협의를 앞두고 코스피는 2520선을 유지하며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약보합으로 마감했습니다. 이날 국내 증시는 미중 관세 완화에 간밤에 상승 마감 한 미국 증시 분위기 영향으로 상승할 갓으로 예상 했지만 개장 전 한국의 1분기 GDP 성장률 역성장 소식에 장초반부터 투자 심리가 위축됐습니다.
수급에서는 여전히 이어서 외국인 투자자가 코스피에서 10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지속했습니다. 기관 투자자도 코스피를 동반 순매도했습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코스피를 나홀로 순매수, 코스닥에서는 외국인과 함께 동반 순매수를 보였습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HD현대그룹의 조선사 호실적 발표로 조선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또한 글로벌 원전 수주 기대감으로 국내 원전주 또한 상승했습니다. 그 밖에 건설, 기계/장비, 화학 등 올랐습니다. 반면, 제약, 일반서비스, 운송/창고, 전기/전자, 오락/문화 등은 내렸습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14.40원 오른 1,430.00원에 마감했습니다.
오늘 KOSPI는 0.13% 내렸고, KOSDAQ은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큐라티스 (348080 KQ 기타서비스)
시가총액 596억 / 상장주식수 73,862,864
PER - / EPS -588원 / PBR 1.76배 / ROE -92.81%
백신 전문업체. 신약 개발의 전 과정을 일원화하여 자체적으로 진행 가능한 바이오 기업으로, 성인 및 청소년용 결핵 백신인 QTP101 및 차세대 mRNA 코로나19 백신인 QTP104 등을 개발하고 있음. 또한 자체적인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현재 유수의 국내 및 해외 바이오 신약 개발 기업들에게 CMO/CDMO 서비스를 제공.
QTP104는 국내 최초 차세대 mRNA 기반의 코로나19 백신으로, 2021년7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1상 승인을 받았으며, 2023년7월 임상시험이 종료 되었음.
최대주주는 인벤티지랩 외(21.59%)
종가 808 원
거래량 3,507,847 주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최대주주 인벤티지랩, 먹는 비만약 효과 지속기간 연장 소식 등에 상한가.
#인벤티지랩 (389470 KQ 일반 서비스)
시가총액2,868억 / 상장주식수10,624,200
PER - / EPS -1,814원 / PBR 6.45배 / ROE -91.93%
약물전달시스템 플랫폼 업체. 마이크로플루이딕 기술을 의약품 연구개발에 적용하여 장기지속형 주사세 개발 및 양산 제조에 응용한 IVL-DrugFluidic
종가 27,000 원
거래량 829,040 주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먹는 비만약 효과 지속기간 연장 소식 등에 상한가.
#알파녹스 (043100 KQ 의료/정밀기기)
시가총액 291억 / 상장주식수 16,582,967
PER - / EPS -714원 / PBR 0.73배 / ROE -29.00%
메디칼 사업 및 헬스케어 사업 영위 업체.
생체용금속, 외과용 수술기구, 의료장비 및 각종 의료기기를 제조/판매하는 메디칼 사업부분과 온열매트(온열전위자극기 등), 각종 온열기능성 제품, 가정용의료기, 수소수기, 이온수기, 건강기능 및 증진식품, 복지용품, 건강보조 용품 및 기구 등을 제조, 판매하는 헬스케어사업부문으로 구분.
최대주주는 MDS테크 외(50.56%)
상호변경 : 솔고바이오 -> 알파녹스(24년8월)
종가 1,755 원
거래량 2,224,873 주
이날 주가에 영향을 줄만한 이슈나 공시는 없었습니다.
#HK이노엔 (195940 KQ 제약)
시가총액 13,853억 / 상장주식수 28,329,891
PER 17.32배 / EPS 2,173원 / PBR 0.85배 / ROE 5.01%
전문의약품 사업과 H&B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전문의약품부문은 국내 30호 신약 케이캡(위식도역류질환 치로제(P-CAB))을 필두로 로바젯(고지혈증 치료제), 아킨지오 등이 있으며, H&B사업부문은 컨디션, 헛개수, 비원츠 등을 주요 제품들로 보유.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자가면역질환(IN-115314) 신약음 국내 임상 1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비알콜성지방간질환 치료제(FM-101) 신약은 원개발사가 글로벌 임상을 진행 중. 또한 당뇨/비만치료제로 시장성이 큰 GLP-1 파이프라인(IN-B00009)을 도입하여 임상3상을 계획 중.
최대주주는 한국콜마(43.01%),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6.14%)
종가 48,900 원
거래량 2,3998,874 주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미국 내 임상 3상 성공 소식에 상한가.
#에이프로 (262260 KQ 전기/전자)
시가총액 953억 / 상장주식수 14,468,152
PER 11.22배 / EPS 451원 / PBR 0.95배 / ROE 8.74%
리튬이온 2차전지 활성화 장비 생산업체. 전력변환장치(SMPS) 및 인버터 기술을 바탕으로 리툼이온 2차전지 생산공정 중 후공정 관련 장비인 활성화, 테스트장비 장비를 주력으로 개발, 생산. 주요 고객은 LG에너지솔루션 등 리튬이온 2차전지 제조업체. 신규 사업으로 차세대 GaN 전력반도체 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 중.
최대주주는 임종현 외(39.55%)
종가 6,590 원
거래량 1,251,760 주
그리너지 기술 활용 업체 타이탄볼트, 영국 대형 수소 프로젝트 ‘HySpeed’ 단독 배터리 공급사 선정 소식 속 그리너지 지분 보유 부각에 상한가.
#삼륭물산 (014970 KQ 종이/목재)
시가총액 954억 / 상장주식수 15,125,000
PER - / EPS -392원 / PBR 1.38배 / ROE -10.53%
우유나 주스 또는 청량음료를 담을 수 있는 액체 음료 포장용기의 일종인 카톤팩 전문 생산업체. 주요 종속회사로 에스알테크노팩(식품용기 제조 및 판매), 에스알케미칼(합성도료 관련 제품 연구) 보유.
최대주주는 조홍로 외(79.94%)
종가 6,310 원
거래량 620,912 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온실가스 감축·탈 플라스틱 공약 등에 친환경 식품용 용기인 카톤팩 제조 사실 지속 부각에 상한가.
#블루엠텍 (439580 KQ 유통)
시가총액 1,883억 / 상장주식수 11,170,221
PER - / EPS -439원 / PBR 3.07배 / ROE -
의약품 유통, 판매업체. 전문의약품을 e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것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병의원을 대상으로 한 '블루팜코리아', 약국을 대상으로 한 '쿨팜'등 2개의 의약품 유통플랫폼을 운영. 두 플랫폼을 운영하고 고도화하는 IT서비스 지원에 더해, 제약사, 의료기관용 서비스, 웹사이트 개발 업무를 진행하는 '블루랩스(BlueLabs)'를 운영 중.
노보 노디스크 비만치료제 '삭센다'를 국내 약국에 유통하고 있으면서 바이오시밀러(삭센다) 출시를 추진하고 있는 노바티스를 고객사로 보유.
최대주주는 연제량 외(22.86%)
종가 16,860 원
거래량 14,721,211 주
인벤티지랩, 먹는 비만약 효과 지속기간 연장 및 한국 노보 노디스크, '위고비' 청소년 투여 허가신청 소식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상한가.
#버넥트 (438700 KQ IT 서비스)
시가총액 646억 / 상장주식수 11,144,890
PER - / EPS -1,137원/ PBR 1.53배 / ROE -32.64%
XR 솔루션 전문업체. 자체 개발한 컴퓨터 비전 기반의 증강현실 기술을 바탕으로 확장현실 솔루션을 개발. 주요 제품으로는 산업용 XR 솔루션으로 VIRNECT Remote(원격 현장관리 XR 솔루션), VIRNECT Make(디지털 정보 제작 XR 솔루션), VIRNCT Twin(3차원 디지털트윈 솔루션) 등이 있음.
최대주주는 하태진 외(35.20%), 주요주주는 한화(8.04%)
종가 5,800 원
거래량 5,993,037 주
AI 반도체 해외 실증 지원사업 컨소시엄으로 최종 선정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